1. 회로 동작 기술(상태도) - 어떻게 동작해야하는지 알고리즘을 그려보는 단계 2. 회로의 상태표 작성 - 위의 동작형태를 표로 나타낸 단계 3. 상태 축소 및 상태 할당(가능한 경우) - 상태와, 출력이 같을 때, 중복되는 것은 제거 하는 것. (redundant state) - 플립플롭 수가 M 이면 요구되는 상태는 2의 M승이다. - 상태를 줄이면 플립플롭 수를 줄일 수 있다. - 즉, 상태축소 = 플리플롭 수를 줄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. - 상태를 축소한 후(문자로 상태가 주어질 경우), 각 상태에 이진수를 할당한다(상태 할당) ex)001,010등의 상태, 임의로 부여하면 된다. 4. F/F 개수, 종류 결정 상태의 수가 n => [log2(n)]개의 F/F가 필요 (n은 식을 만족하는 최대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