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ack 25

[김영한, inflearn]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(미완)

: https://inf.run/pkYP 목차 1. 인터넷 네트워크 : 인터넷 네트워크 망의 기본에 의해 모든것이 돌아간다. 1.1 인터넷 통신 : 어떻게 저 복잡한 망을 거쳐서 소통을 하는 것인가? 1.2 IP(인터넷 프로토콜) A. 정의 - 지정한 IP 주소(IP Address)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"규칙" - 통신단위 "패킷(Packet)"으로 데이터 전달 B. IP패킷 정보(택배 운송장 적는 느낌이다) - 출발지 IP 주소 + 목적지 IP 주소+ 메세지 + 기타로 구성 ex) hello world! 메세지를 한국에서 미국으로 보내기 - 패킷을 작성해서 인터넷 망에 던지면, 서버 노드들이 규약에 따라 전달해 준다.(모든 노드는 IP프로토콜 규약을 따르고 있음) C. IP 프로토콜의 한계 => TCP..

[김영한, inflearn] 실전!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-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

목차 학습목표 : 실무에 가까운 복잡한 예제로 애플리케이션 개발 해보는 것이 목표 1. 프로젝트 환경설정 1.1 프로젝트 생성(https://start.spring.io/) 1.1.1 기본 : Gradle/JAVA/Spring Boot 안정화 버전/group,artifact명 설정 1.1.2 Dependancy : Spring Web/Thymeleaf(JSP대안)/Spring Data JPA/H2 Database/Lombok A. boilerplate code : 지루하게 반복하는 코드 https://charlezz.medium.com/보일러플레이트-코드란-boilerplate-code-83009a8d3297 보일러플레이트 코드란?(Boilerplate code) 보일러플레이트란? charlezz.med..

Back/JPA 2023.01.09

GraphQL - 얄팍한 GraphQL과 Apollo(미완)

https://www.yalco.kr/lectures/graphql-apollo/ 얄팍한 GraphQL과 Apollo 목차 Section 1. GraphQL이 뭐고 왜 쓰나요? - GraphQL은 REST의 Overfetching, Underfetching을 해결한 명세, 형식이다. 1. 강의소개 & 준비물 : 생략 2. GraphQL 이전 - REST API 그리고 장단점?, 한계 2.1 REST API : 데이터를 주고받을 주체들간 약속된 형식 2.1.1 URI 형식(어떤 정보를) X 요청 방식(어떻게 할 것인가) 2.1.2 요청 형식용도 Get : DATA READ POST : DATA INSERT PUT/PATCH : DATA UPDATE DELETE : DATA DELETE 2.2 REST AP..

Back 2023.01.05

실전! 스프링 Data JPA - 김영한

JPA Entity를 대상으로 먼가 지지고 볶는 것. 1. 프로젝트 환경설정 IntelliJ Settings BuildTools > Gradle > change Build+Test : IntelliJ Compiler > Annotation Processors > Enable 프로젝트 생성 start.spring.io + Gradle + Java + ADD web, jpa, h2, lombok 라이브러리 살펴보기 dependencies { 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data-jpa' implementation 'org.springframework.boot:spring-boot-starter-web' compileOnly 'o..

Back/JPA 2022.12.26

[김영한,Inflearn]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

스프링은 자바 어플리케이션 쉽게 잘 만들수 있는 컨테이너 프레임워크다. 웹에 너무 매몰되서 이해하면 산으로 갈 수 있다. 김영한님의 강의를 들으며, 이 부분부터 다시 초점을 잡아 정리하는 것이 포스팅 목표이다. 근데 강의가 web 기준이네.. => web이 아니고, MVC 구성인 게 있을 수도 있다!(아래 왼쪽) => @Bean으로 등록하면 되니까, @component 아니어도 상관 없긴 하다!(아래 오른쪽) 스프링을 왜 공부해야 하는가? : 실무에서 제대로 동작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서 학습목표 : 사이클을 돌려서 전체 Overview를 갖추기 : 스프링 학습의 첫 길잡이 역할 spring boot reference 확인 법 https://spring.io -> Project > Spring..

Back/spring 2022.12.26

Node.js 교과서 조현영(미완)

1장 노드 시작하기 2장 알아두어야 할 자바스크립트 3장 노드 기능 알아보기 4장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5장 패키지 매니저 6장 익스프레스 웹 서버 만들기 7장 MySQL 8장 몽고디비 9장 익스프레스로 SNS 서비스 만들기 10장 웹 API 서버 만들기 11장 노드 서비스 테스트하기 12장 웹 소켓으로 실시간 데이터 전송하기 13장 실시간 경매 시스템 만들기 14장 CLI 프로그램 만들기 15장 AWS와 GCP로 배포하기 16장 서버리스 노드 개발 1장 노드 시작하기 __1.1 핵심 개념 __1.2 서버로서의 노드 __1.3 서버 외의 노드 __1.4 개발 환경 설정하기 2장 알아두어야 할 자바스크립트 __2.1 ES2015+ __2.2 프런트엔드 자바스크립트 3장 노드 기능 알아보기 __3.1..

Back/node.js 2022.09.03

정보처리기사DB - 5.DB실무

1. 시스템 카탈로그 = Data Dictionary - 앞에서 메타데이터(DDL의 결과)가 저장된다고 했다. 1.1 특징 - 테이블로 되어 있어 SQL로 검색 가능. - DBMS에 의해 생성/유지 - 갱신 : 직접 SQL로 갱신 불가 -> DBMS가 변화를 감지하면 자동 갱신. - 분산시스템에서는 제어정보(위치 투명성, 중복투명성 제공)도 포함. 1.2 구성요소 - SYSOBJECTS : 각 개체정보를 한 행(ROW)으로 관리. -> 개체명, 소유자, 개체종류, 생성일 등으로 구성. - SYSCOLUMNS : 테이블의 모든 속성 정보를 한 행(ROW)로 관리. -> 속성명, 테이블명, 소유자, 속성타입, 자릿수 등.. - SYSINDEXES : 시스템의 모든 인덱스 정보를 한 행(ROW)로 관리. ->..

Back/DB 2022.01.21

정보처리기사DB - 4. 정규화

1. 이상 ; 중복(Redundancy)로 인해 테이블 조작시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. 1.1 종류 1.1.1 삽입 이상 의도와 상관없이 원하지 않은 값들로 인해 삽입할 수 없는 현상. 1.1.2 삭제 이상 한 튜플을 삭제 할 때, 관련 없는 값들도 연쇄적으로 삭제되는 것. 1.1.3 갱신 이상 속성 값을 갱신할 때, 일부만 갱신되어 불일치성이 생기는 것. 2. 함수적 종속(Functional Dependency) - 속성 X에 대해 속성 Y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 되어 있는 것. - 표기 X -> Y, X가 Y를 함수적으로 결정한다. - X를 결정자(Determinant), Y를 종속자(Dependent)라고 한다. - 함수적 종속 다이어그램이 있다. 3. 정규화(Normalization) -> 함수적..

Back/DB 2022.01.21

정보처리기사DB - 3.SQL

1. DDL ; Schema, Domain, Table, View, Index의 정의/변경/제거 하는 언어 ; 정의 내용은 Metadata가 되며, System Catalog에 저장된다. 1.1 CREATE ; Schema, Domain, Table, View, Index를 정의한다. 1.1.1 CREATE SCHEMA => CREATE SCHEMA 스키마명 AUTORIZATION 사용자_ID; EX)CREATE SCHEMA 대학교 AUTORIZATION 홍길동; 1.1.2 CREATE DOMAIN ; 정의된 도메인 명은 일반 데이터 타입처럼 사용. => CREATE DOMAIN 도메인명 데이터타입 [DEFAULT 기본값] [CONSTRAINT 제약조건명 CHECK (범위값)]; EX) CREATE DO..

Back/DB 2022.01.20

정보처리기사DB - 2. 관계형DB

5. 관계형 데이터 모델 5.1 릴레이션 : 데이터를 이차원의 테이블로 표현한 것. - 릴레이션 스키마와 릴레이션 인스턴스로 구성. -> 릴레이션 스키마 : 릴레이션 이름, 각 속성의 이름 & 타입, 속성값의 도메인을 정의 ; relation intension이라고도 함. ==> 맨 첫 행, 즉, 속성에 관한 정보가 릴레이션 스키마이다. ==> 나머지 아랫줄이 릴레이션 인스턴스. -> 릴레이션 인스턴스 : 릴레이션에 들어있는 튜플들의 집합. -> 속성(Attribute) : 테이블(릴레이션)의 열(column) -> 튜플(Tuple) : 테이블(릴레이션)의 행(Row) -> Degree : 속성의 숫자(아래의 경우 6) -> Cardilanlity : 튜플의 숫자(아래의 경우 4) 5.2 E-R 모델을 ..

Back/DB 2022.01.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