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이상
; 중복(Redundancy)로 인해 테이블 조작시 문제가 발생하는 현상.
1.1 종류
1.1.1 삽입 이상
의도와 상관없이 원하지 않은 값들로 인해 삽입할 수 없는 현상.
1.1.2 삭제 이상
한 튜플을 삭제 할 때, 관련 없는 값들도 연쇄적으로 삭제되는 것.
1.1.3 갱신 이상
속성 값을 갱신할 때, 일부만 갱신되어 불일치성이 생기는 것.
2. 함수적 종속(Functional Dependency)
- 속성 X에 대해 속성 Y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 되어 있는 것.
- 표기 X -> Y, X가 Y를 함수적으로 결정한다.
- X를 결정자(Determinant), Y를 종속자(Dependent)라고 한다.
- 함수적 종속 다이어그램이 있다.
3. 정규화(Normalization) -> 함수적 종속을 알아야 이해가능.
; 테이블의 상호종속관계를 이용하여 테이블을 무손실 분해하는 과정.
- 목적 : 가능한 중복을 제거하여 삽입,삭제, 갱신 이상 가능성을 줄이는 것.
- 제1정규형, 제2정규형, 제3정규형, 제4정규형, 제5정규형
=====> 뒤로 갈수록 정규화 정도가 높아짐
3.1 제1정규형(First Normal Form;1NF)
; 테이블 모든 속성 값이 원자 값인 정규형.
=> 원자 값으로 갖게 분리시켜라.
3.2 제2정규형(Second Normal Form;2NF) ; 테이블이 제1 정규형이고,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함수적 종속을 만족하는 것.
=> 1정규형 이후에, 다른 속성이 기본키에 종속되도록 만들어라.
3.3 제3정규형(Third Normal Form;3NF) : 제2정규형이면서, 기본키가 아닌 모든 속성이 기본키에 대하여 이행적 함수적 종속을 만족하지 않는
것.
cf)이행적 함수적 종속 : A->B ,B->C 면 A->C를 만족하는 관계.
=> 즉 2정규형으로 만든 후, 1노드만 연결되게 만들어라.
3.4 BCNF(Boyce-Codd Normal Form)
; 모든 determinant가 후보키인 형태.
3.4 제4정규형(Fourth Normal Form;4NF)
; 다중 값 종속(MVD)가 존재할 경우, 모든 R의 속성이 A에 함수적 종속을 만족하는 형태.
3.5 제5정규형(Fifth Normal Form;5NF)
; 모든 조인 종속이 R의 후보키를 통해서만 성립.
3.6 비정규화(Denormalization)
; 조인을 많이쓰면, 성능이 떨어져서 합쳐야 되는 경우가 있다.
테이블을 다시 합치는 것을 비정규화라고 한다.
출처 : 시나공 2018 정보처리기사 실기(산업기사 포함), 한기준 외 3인, 길벗. 2018
'Back > 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기사DB - 5.DB실무 (0) | 2022.01.21 |
---|---|
정보처리기사DB - 3.SQL (0) | 2022.01.20 |
정보처리기사DB - 2. 관계형DB (0) | 2022.01.20 |
3. DDL(Data Definition Language) (0) | 2022.01.20 |
정보처리기사DB - 1.DB전반 (0) | 2022.01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