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ack/DB

3. DDL(Data Definition Language)

TimeSave 2022. 1. 20. 22:16

 

- 데이터 유형(data type) : 데이터 공간의 유형을 정한다.

ex) numeric, Character, varchar, datatime ....

=> 다른 유형의 데이터가 오면 에러를 발생시켜 안전하게 함

=> 유형의 SIZE를 넘어서도 에러를 발생시켜 안전하게 함.

- 숫자타입(NUMERIC Type)

-> ANSI/ISO : NUMERIC, DECIMAL, DEC, SMALLINT, INTEGER,

INT, BIGINT, FLOAT, REAL, DOUBLE PRECISION

-> SQL Server와 Sybase :

작은 정수형, 정수형, 큰 정수형, 실수형 등 여러 숫자 타입을 제공하고

있으며, 추가로 MONEY, SMALLMONEY 등의 숫자 타입

-> Oracle : 숫자형 타입에 대해서 NUMBER 한 가지 숫자 타입의

데이터 유형만 지원

 

- 문자열 타입

VARCHAR : 가변 길이이므로 필요한 영역은 실제 데이터 크기뿐

- 길이가 다양한 칼럼, 정의와 실제 데이터 길이에 차이가 있는 칼럼에 적합

ex) 팀명, 운동장 주소, 선수이름, 아이디, 이름, 이메일

 

- CHAR 유형보다 작은 영역에 저장할 수 있음

- 문자열 비교에서 처음부터 한 문자씩 비교,

- 공백도 하나의 문자로 취급 => 끝의 공백이 다르면 다른 문자로 판단

 

CHAR 유형(고정길이)

ex) 주민등록번호, 코드성컬럼

- CHAR에서는 문자열을 비교할 때 공백(BLANK)을 채워서 비교

-> 짧은 쪽 컬럼의 끝에 공백을 추가

=> 2개의 데이터가 같은 길이가 되도록

-> 앞에서부터 한 문자씩 비교

 

예) CHAR 유형

'AA' = 'AA '

 

예) VARCHAR 유형

AA' ≠ 'AA '

 

VARCHAR, NUMERIC 유형의한 길이나 자릿수는 가질 수 있는 최대값을 정의한 것

 

테이블 설계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중요 요소

- 문자열(CHAR와 VARCHAR)에 대한 최대 길이와

- NUMBER 칼럼의 정밀도(Precision)를 지정하는 것

 

- Create Table

테이블에 입력될 데이터를 정의하고,

정의한 데이터를 어떠한 데이터 유형으로 선언할 것인지를 결정

 

'Back > 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정보처리기사DB - 3.SQL  (0) 2022.01.20
정보처리기사DB - 2. 관계형DB  (0) 2022.01.20
정보처리기사DB - 1.DB전반  (0) 2022.01.20
2. ERD(Entity Relationship Diagram)  (0) 2022.01.20
1.SQL 관련 용어정리  (0) 2022.01.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