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전력소모 : 게이트 동작 시 소모되는 전력량
P(게이트 전력) = VI (게이트 필요 전압, 게이트 흐르는 전류)
2.지연시간 : 신호 입력 ~ 신호 출력까지 시간. 즉, 게이트 동작속도
= 전파지연시간 (gate propagation delay time)
2.1 입출력이 변화하는 순간
2.2 입력이 변화폭의 50% 도달할 때,
2.3 출력이 변화폭의 50% 도달한 시간차.
즉, 입출력이 변화했을 때, 각 변화폭의 50%값일 때의 시점을 구해서, 시간차를 지연시간으로 정의한다.
ex) t(PHL): 출력이 H -> L로 바뀔 때, delay
t(PLH): 출력이 L -> H로 바뀔 때, delay
즉, 기준은 출력이다.
2.4 TTL, CMOS의 논리레벨 정의 (소자 동작특성 차이 때문에 다르다)
- TTL : 1 = (2.5V ~ 5V),
0 = (0~0.8V)
- CMOS : 1=(3.5V ~ 5V),
0 = (0~1.5V)
미정의영역은 오류를 발생시킨다.
3.
Fan-Out : 하나의 게이트 출력에서 여러개의 입력에 공급하는 전류
즉, 출력단을 몇개까지 다른 게이트에 입력으로 넣을 수 있느냐?를 구한것.
즉,1개의 출력에서 몇개까지 jumper할 수 있느냐?를 구한것.
Fan- In : 1개의 게이트에 입력으로 접속할 수 있는 단수.
3.1. Fan out 전류 설명
1개의 게이트 출력전류 I(OH) = 0.4mA(max) 이다.
1개의 게이트 입력전류 I(IH) = 0.02mA(max) 이다.
Fan Out = 0.4/0.02 = 20.
즉, 출력에서 나오는 0.4mA를 최대한 분배하면 20개의 게이트에 입력 가능하다.
의문점 : High 논리일 때와, low 논리일 때, 값이 같은가?
결론은 다르다이다.
그래서, high논리, low논리일 때 각각 전류값을 구해봐야 한다.
ex) I(OL) = 8mA(Max), I(IL) = 0.02mA
8/0.02 = 40
3.2. Fan In 설명
- 게이트 입력 1단에 접속할 수 있는 단수
- 게이트가 몇 단짜리인지 알려주는 것.
3 input NAND의 fan in = 3
4 input NAND의 fan in = 4
4. 잡음여유도 : 최대 허용 잡음 마진.(잡음이 얼마부터 문제가 생기는가)
= Noise margin
출력전압범위, 입력전압범위가 차이남.
즉, 입력과 출력에서 0,1을 판단하는 전압 기준이 다르다.
(보통 입력전압이 더 여유롭게 판단한다)
여기서 오는 차이값이 Noise Margin이다. (Vnh, Vnl 2가지가 있다)
ex) 버퍼
- 이상적인 버퍼 : V(NH) = V(NL) = Vdd/2
즉, 최대전압의 중간기준으로 HIGH, LOW를 인식한다.
즉, 중간에 빈공간이 없어서, 오동작 하지 않는다.
출력 = 0, Vdd
- 실제 버퍼 : V(NH), V(NL) < VDD/2
즉, 중간에 빈공간(영역)이 생겨서 오동작 한다.
출력 = 0~ V(OL), V(OH)~Vdd
5. 싱크전류(sink current), 소스전류(source current)
전류의 방향에 따라 나누는 구조이다.
5.1싱크전류(sink current) : 출력쪽으로 전류가 흘러간다는 뜻.
즉, Chip의 Output으로 전류가 들어가면 Sinking current
점등용이다.(ㅂㄹ
sink : OUT으로 전류가 in
5.2 소스전류(source current): 출력에서 바깥으로 전류가 흘러간다는 뜻.
즉, Chip의 Output에서 전류가 나오면 Source current
source : OUT에서 전류가 OUT
OUTPUT 으로 들어가면 sink 나오면 source
즉, 기준은 out이고
S 'in'k : in 이고
S'ou'rce : out 이다
5.3
74시리즈 TTL의 싱크전류는 16mA까지 가능
소스전류는 0.25mA 이하
즉, 싱크 > 소스
결론 : 싱크전류가 훨씬 크므로, LED, 7-segment같은 빛이 필요한 소자는 sink로 켜야한다. (빛의 밝기는 전류에 비례한다)
5.3.1 추가
7 - segment는 CA(common Anode)구조를 쓴다
CA : 5V가 공통. => 0을 넣을 때 동작하므로, sink전류다. => 밝다
6. Fan-Out과, 싱크,소스 전류를 결합해서 생각(점등)
입력할 칩이 많은데, 싱크전류가 10mA일 때,
74LS06(인버터), 74LS07(버퍼)를 연결하여 40mA 까지 키워준다.
주의할점 : 논리값이랑, 전류랑 혼동하면 안된다!
논리값 : 전압값, High , low
게이트 : 전압값을 조정하는 것
전류의 방향 : 불키거나 할때, 전류의 크기가 중요해짐.
게이트 여러개 연결할 때 전류의 크기가 중요해짐.
팬아웃(fan-out) 늘리는 방법
https://kin.naver.com/qna/detail.nhn?d1id=11&dirId=1118&docId=53751825&qb=7Yys7J24IO2MrOyVhOybgw==&enc=utf8§ion=kin&rank=2&search_sort=0&spq=0&pid=TXOK6wpVuFKssa%2BMEx8ssssst30-386162&sid=gQ%2Bdbqq4AXTeZaS4IF/Xow%3D%3D
출처 http://contents.kocw.or.kr/html/2012/YeungNam/KimSungWon/13-2/default.htm KOCW. 논리회로. 영남대학교. 김성원
의 강의를 정리한 것입니다.
'전공지식정리 > 논리회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C계열별 특징 (0) | 2020.12.07 |
---|---|
게이트의 전기적 특성2(풀 업, 풀 다운) (0) | 2020.12.07 |
조합회로 응용3(encoder, decoder) (0) | 2020.12.07 |
조합회로 응용2(MUX, deMUX) (0) | 2020.12.07 |
조합회로 응용1, 가산기 (0) | 2020.12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