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주파수응답
기존까지의 회로분석은 시간영역이였다. 그러나 신호의 관점에서 주파수로 신호를 바라보면 여러 유용한 점이 있다.(이득이다)
주파수응답 :
- 입력신호가 들어왔을때, 주파수 성분에 따른 출력의 크기,위상 변화
- 즉, 신호주파수의 변화에 따른 회로응답변화
- 즉, 주파수영역에서 바라본 입출력의 비.
2. 전달함수 :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비
식으로 나타내면, H(ω) = Y(ω) / X(ω)
즉, 주파수에 따른 응답의 비.
값은 복소수로 나오게 되며, 크기 ; |H(ω)| 와 위상 ; ∠Φ 의 조합임.
∠Φ =
- tan-1(ω / ω0) = arctan(w/w0)
[출력과 기본주파수간의 위상차.]
3. 전달함수 유형
1. 전압이득 : Vout(ω) / Vin(ω)
2. 전류이득 : Iout(ω) / Iin(ω)
3. 전달임피던스 : Vout(ω) / Iin(ω)
4. 전달어드미턴스 Iout(ω) / Vin(ω)
4. 단위 dB
5.그래프
ω가 커지면 크기는 줄고, 위상은 (-) 증가
ω = ω0 때,
크기응답은, -3dB( 1-> 0.707 = 1/√2), 위상은 -45도가 된다.
이 지점의 주파수를 차단주파수라고 한다.
전압값이 1/√2이 된다
= 전력값이 1/2가 된다. (= v²)
LPF(low pass filter), HPF(high pass filter)의 기준으로 삼음.
LPF : DC~ w0까지
HPF : w0 ~ ∞
출처 : KOCW. 전자회로. 영남대학교. 김성원
http://contents.kocw.or.kr/contents4/html/2013/Yeungnam/KimSungwon/2-1/default.htm
'전공지식정리 > 전자회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다이오드 AC해석 (0) | 2020.12.07 |
---|---|
다이오드 모델, DC해석 (0) | 2020.12.07 |
PN접합 (0) | 2020.12.07 |
반도체의 전류흐름 (0) | 2020.12.07 |
반도체의 이해(원자구조, 에너지밴드, 물성) (0) | 2020.12.07 |